나는 정보처리기사를 이렇게 준비하였다.
나도 이제 정보처리기사.
지난 7월 15일 떨리는 마음으로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자를 조회하였다.
점수는 65점. 합격이다. 시험공부를 하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올랐다. 표현이 새롭지 못하지만 정말 그랬다.
대학 졸업반 시절에도 정보처리기사시험을 보려고 했다. 비전공자라서 그런지 정보처리기사시험 책을 봐도무슨 소리인지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필기시험 접수만 해놓고 결국 응시하지 않았다. 아까운 접수비만 날렸다.
그 후로 10여 년이 지난 작년 초쯤 누군가가 정보처리기사를 따놓는 게 좋지 않겠냐고 나에게 권유하였다. 사실 일을 하면서 정보처리기사 자격이 필요했던 적이 없어서 딸 생각이 없었다.
갖고 있으면 무엇이라도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해서 2015년 정기 기사 2회 필기를 접수하고 주변에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딴 개발자에게 필기 책을 추천받았다.
필기, 평균 점수와 각 과목의 과락점수가 난관
2015년 2회 필기시험은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책으로 준비하였다.
그냥 합격한 사람이 추천한 책이니 왠지 믿을만하겠다 싶었다.
책의 이론부터 읽고, 문제를 나중에 풀었다. 왠지 느낌상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한 번에 붙을 것 같지 않았다. 역시나 2회 필기시험은 집에 와서 채점해보니 과락으로 떨어졌다.
그래서 2015년 3회 필기시험을 접수하였다. 기출문제 위주로 파고들었다. 책의 예상 문제도 풀었다.
오답 노트도 작성하였다. 짧은 시간 벼락치기로 공부해서 시험을 봤는데 왠지 합격할 것 같은 기분이었다. 채점을 해보니 전자계산기에서 한 문제 더 틀려서 과락으로 불합격이 예상되었다. 그런데 전자계산기 문제 중 틀린 한 문제의 보기가 모두 정답처리 되었다. 그렇게 필기에 합격하였다. 운도 노력하는 사람에게 온다는 게 맞는 말인가 싶었다. 필기에서는 전자계산기가 가장 어려우니 이 부분에 집중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실기, 겹치는 시험일정과 마지막 40 지 선다
2015년 2회 필기에 합격하고 바로 2015년 3회 실기를 접수하였다. 실기도 한 번에 붙을 것 같지 않았는데 역시나 그랬다. (왜 슬픈 예감은 틀린 적이 없나…)
본인은 방송대 컴퓨터과학과에 재학 중이다. 2016년 1회 실기를 접수하고 보니 중간고사 기간과 겹쳤다.
중간고사를 안 보면 안되나 싶었는데 정보처리기사 시험으로 중간고사를 빠지게 될 경우 사유서를 내야 하고 최대 받을 수 있는 점수가 B+로 정해져 있다. 일단 학과 성적이 중요하니 1회 실기는 패스.
실기는 실기라고 되어 있지만 40 지 선다 중에 정답을 고르는 것이다. 2회 실기까지 기존대로 40 지 선다 방식이고 3회 실기부터는 주관식으로 바뀐다는 소식을 들었다. 주관식으로 보게 되면 정보처리기사 자격은 평생 가도 못 딸 것 같은 기분이었다. 그래서 2회 실기에서 끝을 보기로 했다.
생활코딩 그룹에서 기사 시험이 끝나고 나면 언급되는 두목넷이라는 사이트에서 실기 기출문제 풀이 동영상 강의를 결제하였다. 그리고 거기서 제공하는 기출문제는 11년도부터 15년도까지 빠짐없이 풀었다. 틀리면 틀린 부분을 이해할 때까지 봤다. 알고리즘의 경우는 기존에 출제된 스타일을 보고 이런 유형이 나올 것이라고 예상해서 풀었다. 왠지 모래시계에 눈이 갔는데 실제 문제는 나비넥타이 모양이 나왔다.
동영상 강의 강사가 문제 답이 튀어나와 보일 것이라고 했는데 정말 그랬다. 데이터베이스는 운 좋게 기출문제에서 다 나왔다. 아무래도 유형이 바뀌니까 웬만하면 합격시켜 주려고 그러나 싶을 정도로 문제는 쉬웠다.
시험을 보고 나서 가답안이 돌았는데 채점하고 나서 좌절하였다. 막판에 긴가민가해서 고쳤는데 고치기 전에 답이 정답이었다. 그리고 전산영어에서 정말 쉬운 문제를 하나 틀렸다. 가채점해보니 58점이었다. 주관식으로 유형이 바뀌는 3회 실기를 준비해야 하나 했는데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의 배점이 각 6점인데 내가 5점으로 채점해버린 것이었다. 다시 채점해보니 65점. 마킹 실수만 하지 않았다면 합격이다.
합격자 발표 날에 합격자 조회를 해보니 마킹 실수는 없었다.
그렇게 나는 정보처리기사가 되었다.
바쁜 현대인을 위한 3줄 요약.
- 필기는 최근 5년간 기출문제로 준비, 오답 노트로 틀린 문제는 완벽하게 이해. 전자계산기가 가장 어려움.
- 최근 출제된 패턴 이해, 오답 노트로 역시 틀린 문제 완벽하게 이해.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에 집중할 것.
- 대부분 그렇듯이 문제에 답이 있다. 문제 지문을 꼼꼼히 읽어볼 것.